[Git/Github] 변경사항 없이 커밋 다시 푸시하기(git commit --amend --no-edit)
·
DevOps
1. 배경 상황OSSCA 쿠버네티스 한글화팀에서 기여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netlify의 알 수 없는 실패 등의 이유로 이미 올린 PR에 커밋을 다시 푸시할 일이 생긴다. 한글화팀 지난 미팅에서 다른 멘티님들이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깃 명령어를 알려주셨었는데, 이번에 CNCF Glossary 한글화 작업을 하다 마침 해당 명령어를 사용해야 해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참고로 CNCF Glossary프로젝트의 dev-ko 브랜치(한글화 작업용 브랜치) 관리 작업 중에, upstream/dev-ko에 특정 커밋의 hash가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해 내가 올린 PR에 해당 hash가 변경되기 이전 커밋이 자동으로 추가 된 상황으로, upstream에 대한 업데이트 & rebase를 진행해 다시 푸시를 ..
[NGINX]NGINX Ingress Controller 사용 시 도메인 경로에 www를 자동으로 추가/삭제하는 방법
·
DevOps
1. 배경 상황이전에 담당했었던 시스템이 특정 환경에서만 접속이 되지 않아 팀원분들과 함께 원인을 찾아보던 중 ingress의 annotation 중 특이하게 설정되어있는 부분이 있어 해당 어노테이션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다.내가 눈여겨 보았던 어노테이션은 도메인 경로에서 www 라는 하위 도메인을 자동으로 추가하는 설정이었는데, 테스트를 위해 해당 시스템의 도메인 정보를 사전에 받았을 때, www 하위 도메인이 포함되어있지 않았었다. 따라서 www라는 하위 도메인으로 redirect하는 설정때문에 시스템 접속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했었다. 하지만 이 설정은 다른 분이 시스템 접속 이슈를 해결하고자 이것 저것 시도해보시다가 들어가게 된 설정이었고, 해당 설정을 하기 전에도 시스템 접속에 문제..
AS번호(AS number)란? AS번호 소유자 확인 방법
·
DevOps
1. 배경 상황예전 직장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AWS DX(Direct Connect) 구축 중 연결 정보를 받은대로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Link가 계속 Up 되지 않는 이슈가 있었는데, 알고보니 AS 번호가 잘못 전달이 되어 발생한 이슈였다. 관련해서 검색해보니 내가 이전 직장에서 근무했을 당시 사용했던 사이트 외의 다른 사이트도 찾을 수 있어서 AS번호에 대한 개념을 정리 할 겸 포스팅 하려 한다.2. AS number(망 식별 번호)란?AS Number(Autonomous System Number, ASN)는 한국어로는 망식별번호라고도 한다. 동일한 라우팅 정책으로 하나의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를 자율 시스템(AS, Autonomous System)이라고 부르며, 각 자율 시스템을 식별..
불변 인프라(Immutable Infrastructure)와 Snowflake란
·
DevOps
불변 인프라(Immutable Infrastructure)란?서버가 배포된 후에 변경되지 않는 방식으로 한 번 배포된 서버(인프라)는 설정 변경을 하지 않고 불변인 것이 원칙서버의 업데이트, 수정 또는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서버를 기존 이미지 기반으로 생성해 이전 서버를 대체불변 인프라를 위한 전제 조건(1) 인프라를 템플릿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함(2) 이전 인프라와 신규 인프라의 무중단 전환이 가능해야 함불변 인프라의 장점(1) 서버 구성의 일관성과 신뢰성, 멱등성 보장(2) 예측 가능한 배포 프로세스(테스트 서버와 운영 서버와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3) 인프라 요소와 구성 방법을 지정하는 구성파일을 서버에서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 관리가 간편Snowflake Server 패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