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상황
OSSCA 쿠버네티스 한글화팀에서 기여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netlify의 알 수 없는 실패 등의 이유로 이미 올린 PR에 커밋을 다시 푸시할 일이 생긴다. 한글화팀 지난 미팅에서 다른 멘티님들이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깃 명령어를 알려주셨었는데, 이번에 CNCF Glossary 한글화 작업을 하다 마침 해당 명령어를 사용해야 해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참고로 CNCF Glossary프로젝트의 dev-ko 브랜치(한글화 작업용 브랜치) 관리 작업 중에, upstream/dev-ko에 특정 커밋의 hash가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해 내가 올린 PR에 해당 hash가 변경되기 이전 커밋이 자동으로 추가 된 상황으로, upstream에 대한 업데이트 & rebase를 진행해 다시 푸시를 해야하는 상황이었다. 참고로 아래 내용들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번 포스팅의 주제인 git 변경사항 없이 커밋을 다시 푸시하는 방법을 바로 보고싶다면 2번 항목으로 바로 넘어가면 된다.
따라서 로컬 깃 저장소의 내가 작업하던 브랜치로 이동해 git fetch upstream 명령어로 upstream의 커밋 내역들을 가져오고,
$ git fetch upstream
remote: Enumerating objects: 65,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100% (43/43), done.
remote: Total 65 (delta 43), reused 43 (delta 43), pack-reused 22
Unpacking objects: 100% (65/65), 627.90 KiB | 2.29 MiB/s, done.
From https://github.com/cncf/glossary
* [new branch] 509-german-localize-autoscaling -> upstream/509-german-localize-autoscaling
* [new branch] CathPag-patch-1 -> upstream/CathPag-patch-1
* [new branch] annalisag-spark-patch-index -> upstream/annalisag-spark-patch-index
* [new branch] dev-ar -> upstream/dev-ar
* [new branch] dev-bn -> upstream/dev-bn
* [new branch] dev-de -> upstream/dev-de
* [new branch] dev-es -> upstream/dev-es
* [new branch] dev-fr -> upstream/dev-fr
* [new branch] dev-hi -> upstream/dev-hi
* [new branch] dev-it -> upstream/dev-it
* [new branch] dev-ko -> upstream/dev-ko
* [new branch] dev-pt -> upstream/dev-pt
* [new branch] dev-zh -> upstream/dev-zh
* [new branch] iamNoah1-patch-1 -> upstream/iamNoah1-patch-1
* [new branch] main -> upstream/main
upstream의 dev-ko 브랜치를 업데이트 된 내용으로 rebase한다.
$ git rebase upstream/dev-ko
warning: skipped previously applied commit 0d2ddbc
hint: use --reapply-cherry-picks to include skipped commits
hint: Disable this message with "git config advice.skippedCherryPicks false"
Successfully rebased and updated refs/heads/220821-ko-kubernetes.
그러고 나서 git status 로 커밋할 내역을 확인해보면 당연하게도 커밋할 수 있는 내역이 아무것도 없다. 왜냐하면 위의 작업들은 upstream의 dev-ko 브랜치를 대상으로 변경사항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내가 작업하던 220821-ko-kubernetes 브랜치에는 아무런 변동사항이 없기 때문이다.
$ git status
On branch 220821-ko-kubernetes
nothing to commit, working tree clean
이렇게 커밋할 내용이 없는 상태에서 다시 origin에 push하기 위해서는 git rebase -i 후 edit 명령어로 커밋메시지를 수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아래의 방법으로 보다 쉽게 재푸시를 할 수 있다.
2. 해결 방법
git commit --amend --no-edit 명령어를 사용해 커밋 자체에는 아무런 변경사항 없이 push할 수 있도록 커밋 상태를 변경해준다.
$ git commit --amend --no-edit
[220821-ko-kubernetes 54df71b] [ko] translation kubernetes(cncf#1116)
Date: Sat Sep 3 08:45:44 2022 +0900
1 file changed, 54 insertions(+)
create mode 100644 content/ko/kubernetes.md
이 다음 origin의 작업 브랜치(220821-ko-kubernetes)로 force push(-f) 해주면 변경사항 없이도 커밋을 다시 푸시할 수 있다.
$ git push -f origin 220821-ko-kubernetes
Username for
Password for :
Enumerating objects: 8, done.
Counting objects: 100% (8/8),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up to 4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5/5), done.
Writing objects: 100% (5/5), 2.16 KiB | 2.16 MiB/s, done.
Total 5 (delta 3), reused 0 (delta 0), pack-reused 0
remote: Resolving deltas: 100% (3/3), completed with 3 local objects.
To https://github.com/jinnypark9393/glossary.git
+ 62335a9...54df71b 220821-ko-kubernetes -> 220821-ko-kubernetes (forced update)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NGINX Ingress Controller 사용 시 도메인 경로에 www를 자동으로 추가/삭제하는 방법 (0) | 2024.12.01 |
---|---|
AS번호(AS number)란? AS번호 소유자 확인 방법 (0) | 2024.11.30 |
불변 인프라(Immutable Infrastructure)와 Snowflake란 (0) | 2024.11.01 |
[AWS]AWS CLI를 이용해 현재 접속 계정(IAM User/Role) ARN 가져오기 (0) | 2023.09.25 |
PKOS 스터디 3주차: 쿠버네티스 Storage & Ingress (1)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