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ALB에서 선택하지 않은 Subnet에 배포된 Target(Pod)와의 연결이 될까?
·
DevOps
1. 배경 상황작년 하반기에 CloudFront에서 Private ALB/NLB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VPC Origin)이 출시되었다고 해서 내부적으로 PoC를 진행했었다. 이 테스트를 진행 중에 확인된 가장 큰 제약사항이 ap-northeast-2a 가용영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이었는데, 공교롭게도 지금 운영중인 모든 VPC에서 2a 가용영역을 사용했기 때문에 어떻게든 해당 가용영역을 사용하려고 테스트하다가 제목과 같은 시나리오로 테스트를 해보게 되었다.  2. ALB에서 선택하지 않은 Subnet에 배포된 Target(Pod)와의 연결 테스트 결과결론적으로 말하면 ALB에서 선택하지 않은 Subnet에 배포된 target과는 통신이 되지 않는다.  EKS에서 해당 내용을 검증하려면 아래와 ..
[Github]깃헙 액세스토큰 사용 시 refusing to allow a Personal Access Token to create or update workflow… 에러
·
DevOps
1. 배경 상황CNCF 용어집 한글화 작업 중 기존에 올려 두었던 PR을 수정해야하는 일이 생겼는데, 수정 후 origin(원본 github repository를 fork해서 받아놓은 내 repository)에 변경사항을 push하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발생했다.! [remote rejected] 220821-ko-kubernetes -> 220821-ko-kubernetes (refusing to allow a Personal Access Token to create or update workflow `.github/workflows/es-spellcheck.yml` without `workflow` scope)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  에러 메시..
[Kubernetes]kubectl 및 유용한 유틸리티 설치(krew, ctx, neat)
·
DevOps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때 반드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kubectl이라는 유틸리티다. 클라이언트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컨트롤 플레인의 kube-apiserver에 요청을 보낼 수 있게 해주는 유틸리티고 간단히 말해 클러스터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리소스를 배포/수정/삭제 하는데에 사용하는 CLI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kubectl 설치(MacOS)1. kubectl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서는 쿠버네티스 공식문서 혹은 AWS Documentation을 참고하면 된다. 먼저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 kubectl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다(쿠버네티스 1.31 버전).curl -O   2. 다운로드 받은 바이너리에 실행 권한을 추가한다.chmod +x ./kubectl  3. 바이너리를 PATH 폴더에 복사한다.mk..
[나는리뷰어다2025]패턴으로 익히고 설계로 완성하는 리액트 서평
·
ETC
이전에 한번 선정되어서 활동하다가 오랜만에 신청한 한빛출판네트워크의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오랜만에 하게되었다. 이번 달 받아본 책은 ‘패턴으로 익히고 설계로 완성하는 리액트’라는 책.  작년즈음부터 자바스크립트와 리액트를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개발에 익숙하지 않아서 간단한 건 구현할 수 있지만 코드를 짜면서도 ‘이게 맞나? 이렇게 하는 게 맞나?’ 라는 의문이 들었던 차에 좋은 기회에 내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책을 받게 되었다.책의 목차는 검색해보면 나오기는 하지만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있다.1부: 리액트 기본개념2부: 테스팅 기법3부: 비즈니스 로직과 디자인 패턴 알아보기4부: 실무에서의 구현  목차에서도 살짝 느낄 수 있듯이 처음으로 리액트를 시작하는 101 책은 아니고 리액트를 접하긴 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