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AWS를 비롯해서 여러 SaaS 솔루션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서비스들에서는 보통 status 웹사이트와 신규 서비스 소식들을 위한 웹사이트들을 운영하게 된다. 직접 들어가서 볼수도 있지만 슬랙에서 RSS 피드를 구독해 빠르게 알람을 받도록 설정해보았다. 사실 입사 전에 설정해놔야지 생각했던 건데 막상 입사해보니 이미 웬만한 서비스는 등록이 되어있어서 지금은 필요할때마다 추가하고 있다.
슬랙에서 RSS피드 구독하는 방법
1. 슬랙 사이드바 가장 하단 Apps 토글 항목에서 + Add apps를 클릭한다.

2. ‘rss’를 검색 후 RSS 앱을 추가한다.

3. Configuration을 클릭한다.

4. 추가하고 싶은 피드의 URL과 채널을 선택하고, Subscribe to this feed 버튼을 클릭한다.

5. (다른 방법) RSS 앱 추가까지는 동일하게 진행하고, 피드 구독을 하고 싶은 채널에서 /feed subscribe <등록하고자 하는 RSS 피드 주소>를 입력하면 구독된다. 참고로 해당 채널에서 구독하고 있는 피드를 확인하려면 /feed list 를 입력하면 현재 구독중인 피드들을 알 수 있다.

지금 회사에서는 aws 관련된 what’s new나 기술 블로그 소식을 따로 모아서 보는 채널과 saas 서비스의 status 소식을 받는 채널을 나눠서 운영중이다.
- 구독중인 AWS 소식
- https://aws.amazon.com/ko/blogs/tech/feed/
- 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피드
-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feed/
- AWS Web Services 한국 기술 블로그 피드
- https://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recent/feed/
- AWS What’s new 피드(한국어로 신규 리전, 서비스, 기능 출시 소식을 알려준다. 하지만 아래 영어 What’s new 피드보다는 소식이 느리거나 빠진 소식들이 많아서 개인적으로는 아래 영어 소식을 보는게 더 나은 듯)
- https://aws.amazon.com/about-aws/whats-new/recent/feed/
- AWS What’s new 피드(영어)
- SaaS status(이 외에도 많음..)
- https://health.aws.amazon.com/health/status
- SaaS라고 보기에는 애매하지만 AWS health RSS 피드는 위 페이지에서 서비스명으로 검색하면 RSS 피드를 확인할 수 있다.
- https://status.openai.com/slack.rss
- OpenAI status
- https://status.cloud.mongodb.com/history.rss
- MongoDB status
- https://www.githubstatus.com/history.rss
- GitHub Status
- https://www.dockerstatus.com/pages/533c6539221ae15e3f000031/rss
- Docker Hub Status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깃헙 액세스토큰 사용 시 refusing to allow a Personal Access Token to create or update workflow… 에러 (0) | 2025.04.01 |
---|---|
[Kubernetes]kubectl 및 유용한 유틸리티 설치(krew, ctx, neat) (1) | 2025.03.30 |
[Terraform]tfenv로 테라폼 버전 관리하기(테라폼 여러 버전 활용하기) (0) | 2025.03.20 |
[MacOS]SSH config로 간편하게 EC2에 SSH 연결하기 (0) | 2025.03.20 |
[AWS]Bedrock Inference Profile(추론 프로필)로 비용 분리해서 집계하기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