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전직장에서 쿠버네티스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에서 한참 잘 썼던 Lens라는 오픈소스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도구를 오랜만에 설치해보려 했는데 라이선스 정책이 바뀌어있었다. GUI로 되어있고 로컬PC에 실행파일만 다운로드 받으면 ~/.kube/config 파일을 자동으로 읽어서 클러스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게 너무 편했는데 라이선스가 변경되었다니 슬프기 그지 없다ㅜㅜ 사실 Lens는 내가 썼던 당시에도 펀딩을 못받고 운영이 어려워 메인테이너들이 포기했다가 Mirantis라는 곳에서 후원을 하면서 다시 시작했던 프로젝트인데… 21년도 즈음부터 유료버전이 출시되더니 이제는 Lens 프로젝트 자체를 유료로만 제공하는 듯 하다.
그래서 k9s같은 다른 툴들도 나왔는데 나는 GUI를 포기 못해서 찾아보니 OpenLens가 있었다. 이것도 사실 위태위태하지만 쓸 수 있을때까지는 써보려고 다운받아보도록 하겠다. 설치 방법은 OpenLens 레포에도 나와있는데 MacOS에서는 brew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brew install --cask openlens
설치하면 이렇게 ~/.kube/config 에 저장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정보를 읽어와서 연결해준다. 클러스터를 왼쪽의 단축탭에 추가해 편하게 여러 클러스터를 오가며 작업을 할 수 있다.

Pod와 Deployment, Service와 같은 쿠버네티스 네이티브 리소스도 잘 보여주고 Custom Resource Definition도 잘 불러와준다.

하지만 설치해보니 큰 문제가 있었는데… 예전에는 잘만 보이던 로그와 파드 쉘 접속 기능이 없어졌다;; 구글링해보니 extension으로 추가하면 해당 기능도 사용이 가능한 모양. 이 링크에서 설치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OpenLens에서 Extensions에 들어간 후,

@alebcay/openlens-node-pod-menu를 입력하고 install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설치하면 Status가 Enabled와 Disabled를 오락가락하면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에는 OpenLens를 아예 종료했다가 재부팅 한 후, extension을 다시 한 번 활성화 하면 잘 동작한다.

이제 파드를 선택하면 Pod shell과 Pod log 메뉴가 보이게 된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Identity Center(SSO) SCIM 토큰 갱신 방법(Google Workspace) (0) | 2025.03.18 |
---|---|
[MongoDB]MongoServerSelectionError 에러 해결 방법 (1) | 2025.03.18 |
[AWS]AWS CLI 명령어 페이저 옵션 끄기 (0) | 2025.03.11 |
[AWS]ALB 보안 그룹에서 CloudFront IP대역을 허용하는 방법(Managed Prefix List 활용) (0) | 2025.03.10 |
터미널에서 내가 입력했던 명령어 검색(reverse-i-search/bck-i-search) (0) | 2025.03.06 |